
지금까지는 JPA를 사용하면서 JPA에 Native Query를 사용하거나 jpa method를 조합해서 사용했었다. 아지만 n:m으로 매팽되는 데이터를 사용하게 되었고, 이를 Native Query를 이용해서 해결할 수 있으나 QueryDsl을 써서 해보자는 의견이 나와 QueryDsl을 쓰게 되었다. (아직은 QueryDsl이 뭔지 잘은 모르겠다. jpa의 함수들이 실제 돌아가는게 QueryDsl 기능들을 그 속에 넣어놔서 라고는 하지만...) 여하튼 QueryDsl을 쓰게 되었는데 다른 사람들은 IntelliJ, 나 혼자 Eclipse를 사용하게 되었다. 혼자 Eclipse를 쓰는 나, 다른 사람이 작성해놓은 QueryDsl 코드를 pull 받자마자 Q* 클래스들을 못 찾겠다는 에러를 내면서 실행도..
Java/JPA
2021. 7. 26. 20:56
공지사항
최근에 올라온 글
최근에 달린 댓글
- Total
- Today
- Yesterday
링크
TAG
- rabbitmq
- ssh
- eclipse
- 메시지큐
- postgres
- 캐시
- 자바
- 어노테이션
- 캐싱
- HttpClient
- 데이터베이스
- 이클립스
- annotation
- cache
- 역직렬화
- Java
- Caching
- MAC
- JPA
- Intellij
- PostgreSQL
- 공간데이터
- DB
- springboot
- enum
- Spring
- k8s
- mockito
- 스프링부트
- DATABASE
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2 | 3 | 4 | 5 | ||
6 | 7 | 8 | 9 | 10 | 11 | 12 |
13 | 14 | 15 | 16 | 17 | 18 | 19 |
20 | 21 | 22 | 23 | 24 | 25 | 26 |
27 | 28 | 29 | 30 |
글 보관함